티스토리 뷰
반응형
- 분석 모형 전개 (deployment)
- 분석 결과 활용 시나리오 개발
- 분석 모형 모니터링
- 분석 모형 리모델링
[빅분기4단원]2.3_분석_결과_활용.pdf
0.27MB
1. 분석 모형 전개
(1) 빅데이터 모형 운영 시스템 적용 방안
- 빅데이터 모형 개발 및 운영 단계
- 분석 목적 정의
- 가설 검토
- 데이터 준비 및 처리 : 불필요한 변수는 제거하고 변수 변환, 새로운 파생변수를 생성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변수별로 분석 모형에 포함하는 것이 타당한지 확인. 데이터 마이닝 기반 분석 모형을 개발할 때는 학습 데이터세트, 평가,검증 데이터 세트로 수집된 데이터를 나누는 작업 수행
- 모델링 및 분석 : 구체적인 통계적 질문으로 변환하는 단계
- 정확도 및 성능 평가
- 운영
- 빅데이터 모형의 운영 시스템 적용 방안
- 빅데이터 모형의 운영 시스템 적용 단계
- 분석 모형 적용 모듈 결정
- 분석 모형 통합 결정 및 구현
(2) 빅데이터 모형의 운영 및 개선방안 수립
- 빅데이터 모형의 개선 방안
- 예측 모형에 대한 성능 추적
- 예측 모형에 대한 개선방안
- 빅데이터 모형 운영 및 개선방안 수립
- 예측 오차 계산
- 예측 모형의 점검 여부 결정
- 예측 모형 개선 방향 결정
2. 분석 결과 활용 시나리오 개발
(1) 분석 결과에 따른 활용 분야 분류
- 분석 모형의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 파악
- 직접 활용 분야 도출
- 파생 활용 분야 도출
- 분석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 분류
- 초기 아이디어 개발 관점의 분로 : 마인드맵 방식, 친화 도표 방식, 피라미드 방식 분류
- 가치 사슬 관점의 분류 : 수직/수평적으로 통합하거나 확대해서 새로운 가치 사슬 발견
(2) 분류 겱과를 토대로 적용 가능한 서비스 영역 도출
- 직접 활용 가능한 서비스 영역 도출
- 파급 활용 가능한 서비스 영역 도출
(3) 분류 결과를 토대로 적합한 신규 서비스 모형 도출
- 신규 서비스 모형에 대하여 개념 도출
(4) 서비스 모형에 따른 활용 방안 제시
- 조직 내부에서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채널 시스템 활용 방안 수립 (기존 시스템 or 신규 시스템)
- 사업화를 추진하기 위한 비즈니스 모형 활용 방안 수립
- 핵심 성공 요인 CSF critical success factor
- 목적 및 참여 요소 측명 :
- 프로세스 측면
- 빅데이터 비즈니스 주요 실패 요인
- 빅데이터 분석 목적, 빅데이터 서비스 목적의 불명확
-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이용할 사용자 및 활용 방안 불명확
- 분석 대상 데이터 품질의 저하
- 분석 모형에 대한 정의 없이 인프라 우선 도입
3. 분석 모형 모니터링
(1) 분석 모형 모니터링 개념
- 배치 스케줄러 : 일련의 작업들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서 일괄 처리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
(2) 분석 모형 모니터링 솔루션
- 샤이니
- ui.R 사용자 작업 파일
- server.R
(3) 분석 모형 성능 모니터링
- 주요 측정 항목
- 일간 성능 분석
- 주간 성능 분석
- 월간(분기)성능 분서거
- 연간 성능 분석
- 측정 항목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및 측정 방법
- 응답시간
- 사용률
- 가용성
- 정확성
- 응용 프로그램 성능 측정 항목
- 응답시간/트랜잭션 처리량
- 메모리 사용
- 데이터베이스 처리
- 오류 및 예외
- 배치 실행 환경
- 응용 플랫폼 성능 측정 항목 및 주기
- 응답시간/트랜잭션 처리량
- 대기 큐/ 대기시간
- 프로세스 상태 및 개수
- 세션 상태 및 개수
- 통신 큐, 채널 상ㅌ
- 자원 ㅜㄹ
- 오류 및 예외
4. 분석 모형 리모델링
(1) 개념
- 주기
- 데이터 마이닝: 분기별 - 동일한 데이터를 이용해 학습을 다시 수행하거나 변수를 추가해 학습 재수행
- 시뮬레이션 : 주요 변경이 이루어지는 시점 , 반기 - 이벤트 발생 패턴의 변화, 시간 지연의 변화, 이벤트를 처리하는 리소스 증가, 큐잉 우선순위(높은 우선순위에 priority 부여해 빠르게 처리하는 방식), 자원할당규칙 변화 등을 처리.
- 최적화 : 1년에 한 번 - 오브젝트 함수의 계수 변경이나 제약조건에 사용되는 제약 값의 변화와 추가
(2) 분석 모형 리모델링 절차
개선용 데이터 수집 처리 → 분석 모델 개선 → 분석 결과 평가 및 분석 모델 등록
- 개선용 데이터 수집 및 처리 : 기존 모델 성능 검토, 개선 데이터 선정. (데이터 활용도, 변경도, 신규 영향 데이터 , 데이터 오류율, 고려해야 함)
- 분석 모델 개선 : 분석 알고리즘 선정, 알고리즘 수행 및 분석 결과 기록
- 분석 결가 평가 및 분석 모델 등록 : 평가 기준 선정, 분석 결과 검토, 알고리즘별 결과 비교
혼자 공부하며 시험에 나올 법한 내용들 위주로 정리한 개인 파일입니다.
반응형
'Data Analyst > 빅데이터 분석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 분석기사 4단원] 2.2 분석 결과 시각화 pdf (3) | 2024.09.08 |
---|---|
[빅데이터 분석기사 4단원] 2.1 분석 결과 해석 pdf (2) | 2024.09.08 |
[빅데이터 분석기사 4단원] 1.2 분석 모형 개선 pdf (1) | 2024.09.08 |
[빅데이터 분석기사 4단원] 1.1 분석 모형 평가 pdf (1) | 2024.09.08 |
[빅데이터 분석기사 3단원] 1.2 분석 환경 구축 pdf (2) | 2024.09.08 |